간월재6 [1,417-1,418] 배내봉(966)-간월산(1,069)_영알7봉 완등 4 * 2025. 2. 9. - 배내고개 사슴농장 입구(주차) - 배내고개 - 데크계단 - 헬기장 - 배내봉 - 912봉 - 선짐재 - 간월산 - 간월재 - 임도 - 사슴농장 입구※ 표시거리 : 사슴농장 입구 - 배내고개(1.7km) - 배내봉(1.4km) - 간월산(2.6km) - 간월재(0.8km) - 사슴농장 입구(6.1km) 총 10.7km■ 영알7봉 완등 인증사업이 25년부터 월 2봉으로 제한하는 규정이 생겼다. 주민 불편 해소 목적도 있겠지만,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고 인원을 분산하려는 의도가 더 크다고 생각되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참가자가 더 많아지고, 7봉째인 4월에는 첫날부터 엄청 몰리지 않을까 싶다. ■ 임도를 따라 간월재를 거쳐 간월산에 가는 코스는 완만하지만 짧고 빡세게 올랐다.. 2025. 2. 10. [영알실크로드종주17] 간월재-신불산(1,159m)-신불재-단조산성 습지: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기점 *2021. 5. 9.(일) ①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 파래소폭포 - 상단지구매표소 - 임도 - 간월재 ② (직진) - 데크계단 - 암릉지대 - 전망대 - 신불산 - (직진) - 데크계단 - 신불재 - 1020봉 ③ 군부대경고판(에베로릿지 들머리) - 오른쪽 습지/영축정 - 단조성터 안내판 - 청수좌골 갈림길 - (직진) - 계곡 - 주계곡 합류 - 휴양림 ■ 작년 8월, 코로나19로 휴양림이 폐쇄되어 되돌아 나왔던 기억이 있어 이번에는 미리 전화로 입장 가능하다는 걸 확인했다(코스장님의 말씀). 그런데 매표소 입구의 주차차단기 바가 움직일 생각을 않고, 둘러봐도 아무도 안보인다. 그제서야 옆의 안내판을 보니 이용시간이 09:00부터다. 평소대로라면 딱 맞추어 도착했을텐데, 오늘은 걸을 길이 조금 멀다고.. 2021. 5. 10. [992-993] 간월산(1,069m)-간월서봉(973m): 신불산자연휴양림 기점 * 2020. 5. 24.(일) ① 배내골 신불산자연휴양림 매표소-휴양림 하단지구-파래소목포-(왼쪽)-나무계단-전망대갈림길-(왼쪽)-전망대 ② 갈림길로 돌아나와-(오른쪽)-휴양림 상단지구-임도따라-죽림굴-간월재-(왼쪽)-간월산 정상 ③ 정상석 보며 왼쪽 암릉구간-임도 가로질러-산길-간월서봉-계곡길-무덤 3기-쉼터정자-나무계단-파래소폭포-원점회귀 2020. 5. 29. 신불산(1,159m) : 배내2 공영주차장 기점 * 2019. 3. 17.(일) ① 배내고개 - 배내2 공영주차장 맞은편 - 임도...임도...임도 - 간월재 - 신불산(되짚어 오기) 2019. 3. 17. 신불산(1,159m) : 간월산장 기점 * 2016. 9. 11.(일) 모처럼 높은 산에 올라 산자락과 구름 그림자를 보고 싶었는데... ① 간월산장 - 홍류폭포 갈림길 - (직진, 사잇길) - 칼바위 능선 옆 능선 - 암릉지대 - 신불산 정상 ② 간월재 - 약수터 - 임도 - 원점회귀 ▲ 간월산장이 계곡 건너로 옮기고 그 자리에 주차장이 들어섰다. ▲ [수까치깨]. [까치깨]와의 차이는? - 수까치깨는 꽃받침이 뒤로 젖혀진다. ▲ [개여뀌] ▲ 이정표에서 왼쪽으로 가면 홍류폭포와 칼바위 방향. 우리는 그 사이 지능선으로 올라서기로 한다. ▲ [참꿩의다리] ▲ [산박하] ▲ 이리로 지나간 적도 있었는데, 이 추모비는 처음 보는 것 같다. 무심히 지나쳤나... ▲ [애기며느리밥풀]? - 잎이 가늘고 길다, 포엽이 녹색이다, 포엽 사이가 조밀하다.. 2016. 9. 11. 간월서봉(973m)-간월산(1,083m) : 배내골 베네치아 산장 기점 * 2012. 11. 18.(일) ① 배내골 베네치아 산장 2층 매점을 돌아 산길 - 공비지휘소(육각정) - 임도 - 간월서봉 ② 간월산 - 간월재 - (입장료 내고) 신불산 자연휴양림 - 파래소폭포 - 원점회귀 △ 베네치아 산장/장안사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다리를 건넌다. △ 베네치아 산장 2층 매점을 돌아가면.. 2012. 1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