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25116

백두대간白頭大幹 ■ 조선조 신경준의 산경표의 체계에 근거한 을 들여다 보면, 대개 우리나라 산줄기의 이름은 강줄기의 이름에서 얻어졌다는 것을 알수 있다(호남정맥과 해서정맥은 지명에서 유래). 이렇게 강을 품은 산줄기가 지역을 구분 짓는 경계선이 되고 있어, 지리를 파악하는 데에 백두대간이 그 근본이 된다. 사실 학창시절에 배운 산줄기는 지질구조에 의한 것이었는지 소백산맥, 차령산맥...과 같은 이름이었는데, 이름만으로는 어디에 있는 것인지 짐작할 수가 없고, 산줄기 간의 상관성도 알 수 없어 무조건적인 암기에 약한 나는 산맥들의 위치와 이름을 외는 게 싫어서 지리 과목 자체에 흥미가 생기지 않았다. 2006년 7월부터 산행을 다니면서도 처음엔 산 정상에 오르는 것을 즐겼을 뿐, 산 사이의 골짜기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 2020. 12. 9.
지리산이 그리웠다, 불현듯/금응 지리산이그리웠다,불현듯/금응 그믐달과 오리온 별자리의 삼태성이 또렷이 보이는데, 중산리 탐방지원센터를 지나며 산행을 시작한다. 법천골 8월 물소리 새벽을 깨우니 제법 어둑하던 하늘이 희부윰 밝아온다. 칼바위는 이름값 어,어! 하다가 돌에 정강이랑 팔꿈치를 찧어서...부상 부위가 하나 더 늘었다. 지리산은 지리산이다. 동자꽃, 말나리, 모시대, 흰진범 역광에 선연하고 두메까치고들빼기, 정영엉겅퀴, 큰흰줄표범나비, 송이/병조희/지리터리/알며느리밥/네뀌쓴풀, 수리/은분/참바위/서덜취, 배초향, 물봉선 개시호, 뽀리뱅이, 시닥나무 오랜 동무 반긴다. 아, 구름 속 반야봉을 만나다! 로터리 쉼터 옆 테이블 산님들에게 방울토마토를 몇 개 드렸더니, 답례로 핫브레이크를 주신다. "되로 주고 말로 받았네" 봄이면 진분.. 2020. 8. 24.
지리산_22회(종주 3회 포함) ■ 경남방향_13회* 산청 대원사-무제치기폭포-치밭목-써리봉-중봉-천왕봉-제석봉-장터목-백무동* 하동 청학동-도인촌입구-삼신봉-내삼신봉-상불재-삼성궁* 산청 중산리-칼바위-망바위-로타리대피소-법계사-천왕봉-제석봉-장터목-유암폭포-법천계곡-칼바위-중산리(1), (2), (3)* 산청 중산리-칼바위-망바위-로타리대피소-법계사-천왕봉-법계사-로타리대피소-순두류-중산리* 산청 거림-세석-촛대봉-삼신봉-연하봉-제석봉-천왕봉-로터리대피소-순두류-중산리* 함양 마천 백무동-하동바위-장터목-제석봉-천왕봉(되짚어 오기)(1)  (2)* 함양 마천 백무동-한신계곡-세석대피소-영신봉-촛대봉-제석봉-천왕봉-장터목대피소-망바위-참샘-하동바위* 함양 마천 음정마을-벽소령대피소-형제봉-삼각고지-별바위등-영원재-영원령-빗기재-삼정산.. 2020. 8. 14.
채이등 정상석 * 2020. 6. 21. 1,000봉 등정기념으로 채이등에 정상석을 세우다! 2013년, 함박등 정상석을 세우고 나서 마음앓이 했던 생각을 하며,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치밀하게 준비하였다. 어떤 몰지각한 이가 땅에 묻힌 함박등 정상석을 굳이 빼내어 들고 사진 찍고, 원래 자리가 아닌 다른 곳에 툭 던져 놓아 방치된 상태로 있다는 사실을 다른 산행기를 보면서 우연히 알게 되었을 때 그 속상함이란... 이번엔 정상석이 겨우 들어갈 만한 자리를 찾고, 처음부터 몰타르를 구입, 반죽을 만들어 정상석 주변에 스며들게 해서 단단히 굳혔다. 이후 주변의 크고 작은 돌을 모아 촘촘히 덮어서 마무리하였다. * 2020. 6. 14. 붓글씨로 직접 정상석 문안 작성 * 2020. 6. 21. 함박등 정상석 크기.. 2020. 7. 13.
2020년 봄의 전령사_변산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 2020. 2. 15.(일) 봄은 어김없이 다가와, 꽃들은 또다시 그 고운 모습을... ▶ 변산바람꽃 ▶ 복수초 ▶ 노루귀 ■ 이런저런 일들로 떠밀리듯 얼떨결에 새해를 맞이하고, 입춘부를 써야지 다짐만 하다가 입춘을 맞았다. 그래도, 변산아씨와 복수초를 보러 꽃나들이는 다녀와야지... 봄꽃, 그 .. 2020. 2. 15.
영축산 능선 이정표 ■ 영축능선 ■ *영축산→오룡산 방향으로 진행, 이정표를 바라보면서(좌-우) 능선1[방기마을 갈림길] : 영축산 - 이정표 - 울주 방기마을 ↓ 간이휴게소 0.3km, 하북 지내마을 ↖신불산 3.1km 능선2[영축산 정상] : 하북 지내마을 4.9km - 이정표 - 오룡산 6.1km 능선3[천정삼거리] : 함박등 1.6km, 백운암 2.2km, 오룡산 5.9km- 이정표 - 영축산(0.2km) ↓ 약수터 50m/비로암 1.6km(험로) ↑ 청수골(등산로 통행제한) 능선4/[숨은재] : 백운암 1.8km, 오룡산 5.5km - 이정표 - 영축산 0.6km ↓ 은수샘, 비로암, 축서암 능선5 : 영축산 1.1km - 이정표 - 백운암 1.3km, 오룡산 5.0km 능선6[함박재] : 채이등 0.3km, 오룡.. 2020.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