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25116

山中遭遇記 山登林中去 산에 올라 숲길 갈 제, 不須模犬聲 모름지기 개소리 임내 삼갈세라. 昨寫聲擬之 그 소리 버금간다 어제 같더니, 遂里類逐朋 마침내 동리 개가 동무하잔다! 대원이 입석봉 지나칠까 걱정하는 마음으로 이름 대신 웅얼거렸더니, 정작 그 대원은 진짜 마을에서 개가 짖는 소리인 줄 지나쳐 버리고, 송곳산 내려오며 재미로 웅얼거렸더니 근처 있던 동리 개가 동무 찾으러 올라오더라~ 이쯤되면 人과 犬의 경계는 허물어져...ㅎㅎ 2021. 5. 2.
金應詩選 1_서해일지(2006)2_거제일지(2007)3_산국일지(2008)4_설악일지(2009)5_변산일지(2010)6_팔영산일지(2011)7_후리메기일지(2012)8_정금조응해조음(2013)9_사소함,그쓸쓸함...(2014)10_산에서 만난 풀꽃(2015)11_율림치 밤밭등...(2016)12_산에서 만난 나무(2017)13_霜天月落夜將半(2018)14_푸른재푸른별(2019)15_读书百遍义自见(2020)16_영남알프스종주(2021)17_벽소령 별바위등(2022)18_天冠山天火臺天神祭文     (2023)19_100山一瞥_100行(2024) 2021. 3. 1.
영남알프스 실크로드 종주 개념도 ■ 2021 프로젝트로 기획한 AM25의 영알 실크로드 종주는 한꺼번에 하는 것이 아니라 주1회 산행이 가능한 점을 고려, 잘게 쪼개어 이어가는 여정이다. ※ '영남 실크로드'는 장거리 산행코스를 개척, 산행을 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있는 배병만 씨가 개척한 것이라고 한다(매일신문 2007.2.3.자). 영남알프스의 수많은 고봉을 산자분수령의 원칙에 따라 종주할 수 없을까 하고 생각 끝에 만들어낸 장거리 코스인 영남 실크로드는, 가지산을 중심으로 해서 운문지맥, 낙동정맥길, 영축지맥 일부 구간을 연결한 코스로 92km를 가는 동안 크고 작은 봉우리 110개를 넘어야 한다. 영남알프스의 가을 억새가 비단처럼 곱게 빛난다해서 실크로드란 이름을 붙였다. 구체적으로는 남기리-비학산-보두산-낙화산-중산-오치령-.. 2021. 1. 25.
영남알프스(실크로드, 태극) 종주 ■ 영남알프스 실크로드 종주 - 배병만 씨가 개척한  것이라고 알려진 장거리 코스 영남 실크로드는, 가지산을 중심으로 해서 운문지맥, 낙동정맥, 영축지맥 일부 구간을 연결한 코스로 약 92km정도이다.  남기리-비학산-보두산-낙화산-중산-오치령-육화산-구만산-인재-억산-운문산-가지산-석남고개-능동산-배내봉-간월산-신불산-영축산-에덴벨리 골프장-배태고개-매봉-금오산-당고개-구천산-만어산-산성터-산성산-살내마을이 구체적인 경로이다.   우리는 주능선에서 빠져 있는 봉우리도 일부 포함하여 코스를 짰다. 쉬엄쉬엄, 꽃도 보고, 바람도 느끼면서 30회차에 걸쳐 완주한 기록이다.    1. 17.~8. 8. 1. 밀양 정문마을-비학산-보담낙화산-노산고개-다촌마을 2. 밀양 오리풀마을-(문방우산)-낙화산-노산고개-.. 2021. 1. 18.
산행기록(2021년) : [1,055]~[1,156] All Weather Mountain Climber 25 2021년 산행기와 연결됨 726 1 [1,055-1,057] 1.1.(금) [영알9봉 완등 1] 반야암-채이등(1,030)-함박등(1,052)-영축산(1,081) 727 2 [1,058-1,059] 1.10.(일) 다죽리-꾀꼬리봉(538)-평전산(216) 728 3 [1,060-1,062] 1.17.(일) [영알실크로드종주1] 비학산(318)-보담산(563)-낙화산(597) 729 4 [1,063-1,066] 1.24.(일) [영알실크로드종주2] 문방우산(528)-낙화산(597)-중산(649)-중산2(644) 730 5 [1,067-1,069] 1.31.(일) [영알실크로드종주3] 백암봉(678)-용암봉(686)-소천봉(632) 731 6 [1,.. 2021. 1. 2.
낙동정맥[洛東正脈] ■ 낙동정맥은 백두대간이 남으로 뻗어내리다 강원도 태백시 매봉산(천의봉)에 닿기 전 해발 1,100m 지점에서 분기한 산줄기로 동해 바닷가와 내륙을 구분 짓는다. 울진 백암산과 청송 주왕산 옆을 지나며 내륙으로 방향을 틀어 경주 단석산을 넘어 영남 알프스로 건너가 가지산, 신불산, 영축산(취서산), 천성산을 거쳐 금정산을 이룬 후 다대포 몰운대에서 끝나는데  총 도상거리가 약 417km에 이른다. 산경표에 나오는 낙동정맥의 흐름에는 모두 31개의 지명이 나오는데,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지명은 백병산, 검마산, 주방산, 보현산, 사룡산, 단석산, 운문산, 가지산, 천화현, 취서산, 금정산, 엄광산, 몰운대 등 13개다. 낙동정맥은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산줄기 이름인 태백산맥과 거의 비슷하지만, 태백산맥.. 2020.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