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축산80

영축산(1,081m)-함박등(1,052m) : 양산 통도사 반야암 기점 * 2011. 8. 14.(일) 축서정을 찾아서... ① 양산 통도사 - 반야암 - 출렁다리 건너 - 지능선 ② 전망바위(신선봉?) - 영축산 - 함박재 방향 - 이정표 - 함박등 ③ 함박재 - (왼쪽) - 백운암 - 극락암 입구 - 반야암 원점회귀 △ 사람 맘이 얼마나 간사한지...비만 안와도 좋겠다 하며 나선 산행길인데, 비가 안오니 조망이 별로라며 투덜. △ 정자 쉼터에 앉아 독경삼매경인지, 독서삼매경인지. △ 반야암에서 올려다보면 오른쪽 너머로 영축산 정상이 보일텐데... △ 2009년에 왔을 때에는 저 출렁다리가 나무였는데, 쇠로 바뀌어져 있다. 더 출렁거리는 느낌. 출렁다리를 건넌다. △ 그땐 저 작은 집은 보지 못한 거 같은데...아니면 산 간다고 좋아 지나쳤나? △ . 노랑망사치마를 활짝 .. 2011. 8. 16.
영축산(1,081m) : 배내골 청수골펜션 기점 * 2011. 7.31.(일) 백팔등 그 능선을 다시 한 번... ① 배내 파래소유스호스텔 위 청수골펜션 - 다리 건너기 전 주차 - 청수골펜션 - 갈림길 - 왼쪽 ② 전망대 - 비룡송 - 백팔등 - 돌탑 - 단조산성 - 단조습지 - 영축산 정상 ③ 죽바우등 방향 - 비로암 갈림길 - 오른쪽 - 단조습지 - 청수좌골 갈림길 - (왼쪽) - 합수점 - 청수좌골 - 원점회귀 △ 청수골펜션으로 가는 다리를 건너기 전 주차장. 2008년 5월에 백팔등-영축산, 2010년 7월에 신불산, 2010년 9월에 오룡산...에 오를 때에도 모두 이 근처가 기점이었다. 그저 빈 공터로 보이는 점은 그때나 지금이나 같지만, 지금은 하루 3,000원의 주차료를 받는다. 관리인의 말로는 청수골펜션 안으로는 산행할 수 없으니 다.. 2011. 8. 1.
아리랑릿지-신불산(1,159m) : 방기리 신불사 기점 * 2010. 11. 13.(토) ① 경부 고속도로 서울산IC - 삼성SDI - 신불사 - 다리 건너 여래입상 뒤 산길 - 포사격장 옆길 ② 이정표 지나 직진 - 마른 계곡 건너 - 능선 - 너덜1 - 직진 - 너덜2 직전 오른쪽 ③ 아리랑릿지 초입 - 바위구간 - 공터 - 신불재 - 신불산 ④ 신불재 - 영축산 방향 - 경고판 - 왼쪽 - 에베로릿지 위쪽 - 너덜 - 바위구간 - 이정표 - 원점회귀 △ 신불사 입구. 다들 억새 보러 나들이 갔나, 차가 한 대도 안 보인다. 산님도 하나또 안 보인다. △ 신불사 대웅전 △ 다리를 건너 석가여래입상을 지나면 산길이 열려 있다. △ 파란선 - 에베로릿지(또 가고 싶다..ㅋ), 주황색선- 우리가 신불산 갔다가 내려와 하산한 경로 △ 신불사에서 빠져나와 넓은 길.. 2010. 11. 16.
영축산(7)(1,081m) : 통도사 기점 * 2010. 8. 29.(일) 그 넉넉한 영알의 자락으로...다시 영축산 ① 통도사 - 비로암 - 반야암에서 오르는 능선에 합류 - 암릉지대 - 영축산 정상 ② 오룡산 방향 - 첫 갈림길 - 왼쪽 - 너덜길 험로 - 원점회귀 ■ 원래 목표는 가지북릉이었다. 그런데 비가 왔다갔다 하는 이런 날씨에는 가지북릉이 아무래도 무리.. 2010. 9. 3.
영축산(1,081m)(6) - 함박등(1,052m)(3) : 반야암 기점 * 2009. 10. 4.(일) 축서정 그 산정길을 한 번 가고 일 년 가고 말건가요, 울리? ① 양산 통도사 - 반야암 - (출렁다리 건너) - 지능선 ② 전망바위 - 영축산 - (되돌아나와) - 이정표 - 1060봉 - 함박등 ③ 함박재 - (왼쪽) - 백운암 - 극락암 - 반야암 원점회귀 ■ 지난 번 죽바우등에 이어 오늘은 함박등. 그런데...과연 함박등에만 오르게 될까? 거기까지 갔으면 당근 영축산에 들렀다 와야쥐~. (결국 그리 되었지롱롱롱!) 안그래도 짧은 추석연휴 마지막날인데도 생각보다 산꾼들이 제법 보인다. 다들 병이야. 집에서 편히 쉬지 뭐하러 나오는지...참참. △ 반야암 주차장. 오른쪽 저 너머로 영축산이 보인다. △ 출렁다리를 건너면 학승이 기거하는지 소담스레 지은 집이 한 채. 그.. 2009. 10. 7.
죽바우등(1,064m)(2)-채이등(1,030m)(3) : 통도사(극락암 위) 기점 * 2009. 9. 20.(일) 오늘도 발목을 잡는다, 대운산에서보다 더 또록또록한 도토리! ① 양산 통도사(요금 내고) - 세심교 - (오른쪽) - 극락암 - 이정표 - 모퉁이 돌아 주차 ② 포장도로에서 오른쪽 산길 - 백운암 - 산신각 뒤로 산길 진입 - 왼쪽 - 뚜렷한 길, 도토리 주으며 죽바우등 ③ 채이등 - 함박재 - (오른쪽) - 백운암 옆 지능선 - 원점회귀 △ 세심교. 다리를 건너면 등산객들 먼지 털어내고 가라고, Air gun을 설치해 놓았는데, 바로 옆에서 할머니 두 분이 묵이며, 떡이며...팔고 계셔서 쓰기가 괜히 미안했다. 내가 미안해 해야 하는 게 맞는가..? 어쨌든. 오른쪽이 극락암, 백운암 쪽이다. △ 시멘트 길이 꺾이는 지점에 이정표가 있고 지나자마자 요런 공터가... 울 가.. 2009.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