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05 100대 명산 정상석 모음Ⅰ(산림청 선정 1~50산) 2023년부터 시작한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 프로젝트, 그 전에 이미 다녀온 곳도 있어 8월 6일에 50번째 산을 다녀왔다. 그간 다녀온 50산의 정상석 사진을 모아 영상을 제작해보니, 추억을 하나씩 소환하는 즐거움이 쏠쏠하다. 폰으로 찍어 해상도가 낮거나, 비온 날은 주변 풍경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흐릿한 사진이 많고, 이후에 다시 다녀온 산행의 사진이 더 선명하거나 구도가 괜찮은 것이 많지만, 기록에 충실하기 위해 100대 명산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후 최초 산행일의 사진을 그대로 담았다. 순서산이름높이(m)소재지 순서산이름높이(m)소재지1가리산1050.9강원 26도락산965.3충북2가리왕산1561.9강원 27도봉산(신선대)740.2서울, 경기3가야산1432.6경남, 경북 28두륜산(가련봉.. 2025. 5. 4. 장수 백운산(白雲山, 1278.6)_100대 명산 120/150 * 2025. 5. 2. 백두대간 길을 따라 걷고, 지리산 능선이 시원스레 바라 보이는 백운산- 무룡고개 주차장 - 선바위고개/영취산 갈림길 - (오른쪽) - 백두대간길 - 백운산 - 선바위고개/영취산 갈림길 - (직진) - 영취산 - 무룡고개/백두대간등산로 안내센터/※ 표시거리: 주차장 - 영취산 갈림길(0.8km) - 백운산(3.0km) - 영취산 갈림길(3.0km) - 영취산(0.3km) - 백두대간등산로 안내센터(0.9km) 총 8.0km ■ '월간山' 선정 100대 명산. "흰 구름산이란 뜻의 백운산은 같은 이름의 전국 30여 개 중 가장 높고 사방이 탁 트인 훌륭한 조망대다. 산정에 눈과 구름이 많은 것이 특징이고, 섬진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으로 행정구역은 전북 장수군 전암면과 경남 함양.. 2025. 5. 4. 100대 명산 정상석 모음Ⅱ(산림청 선정 51~100산) 2023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 프로젝트,그전에 이미 다녀온 30산을 포함하여 8월까지 다녀온 100대 명산 정상석 사진을 모아 1차 영상을 제작하였고, 하나 남은 울릉도 성인봉은 수시로 변하는 기상사정으로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아쉬움만 삼키다가...올해 4월, 드디어 성인봉에 오름으로써 100대 명산을 완등하였다. 순서산름높이(m)소재지 순서산이름높이(m)소재지51선운산334.7전북 76주흘산1108.4경북52설악산1708.1강원 77지리망산399.3경남53성인봉986.5경북 78지리산1915.4전북, 전남, 경남54소백산1439.7경북, 충북 79천관산724.3전남 55소요산587.5경기 80 천마산810.3경기56속리산1058.4경북 충북 81천성산920.2경.. 2025. 5. 4. 진안 천상데미산(天上데미山, 1,080)_100대 명산 119/150 * 2025. 4. 28. 섬진강의 발원지 데미샘이 있는 천상데미산에 갑니다! ① 데미샘휴양림 주차장 - 관리사무소 오른쪽 등산로 - 계곡 건너 오계치삼거리 - (오른쪽) - 데미천상데미삼거리 - (왼쪽) - 천상데미봉(정자쉼터) ② 오계치 - (왼쪽) - 휴양림 내 헬기장 이정표 - 왼쪽/데미샘 방향 - 오계치삼거리 - (오른쪽) 관리사무소 방향 - 주차장 ※ 표시거리: 관리사무소 - 데미샘(1.19km) - 천상데미(0.67km) - 천상데미봉 정상(0.42km) - 오계치(1.18km) - 관리사무소(1.48km) + 헬기장 - 데미샘 아래 갈림길 - 계곡(1.29km) 총 6.23km ■ '월간山' 선정 100대 명산■ 천상데미산의 정상이 어딘지 헷갈린다. 정상석이 따로 없는데다 산행기,.. 2025. 4. 30. 울릉도 성인봉(聖人峰, 986)_100대명산 100/100 * 2025. 4. 21.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완등, 울릉도 성인봉!① 포항 영일만 - (울릉크루즈) - 울릉도 사동항 - 봉래폭포/산림욕장 - 도동리 KBS중계소/성인봉 쉼터 - 성인봉 - KBS중계소 - 나리분지② 독도전망대&독도박물관(공사 중) - 우산국박물관 - 사동항 - (크루즈) - 포항 영일만※ 등산로 표시거리: 편도 4.1km ■ 작년 11월말에 대저페리 쾌속정을 타고 울릉도에 가려다가 출발 직전 풍랑주의보로 배가 결항되어 무산, 이번에는 크루즈를 이용하기로 했다. 가는 날은 바다도 잔잔하고, 밤새 6시간을 달려 도착한 울릉도의 날씨도 쾌청하여 다행이었고, 돌아올 때는 비가 조금씩 뿌리고 파도도 일렁였으나 무사히 도착. 누구에겐지는 모르나 '감사합니다'가 절로 나오는 2박3일간의 .. 2025. 4. 25. 섬바디 ■ 울릉도 특산식물로 울릉도 전 지역에서 자생한다. 돼지가 잘 먹는다고 돼지풀이라고도 하고, 울릉강활이라고도 한다. 약간 그늘지고 토양이 비옥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예전에 울릉도에서 약초를 먹인 소를 진상할 때 사용하였던 식물이 섬바디이다. 7~8월에 흰색 꽃이 핀다. (2025. 4. 21. 울릉도) 2025. 4. 23. 이전 1 2 3 4 5 6 ··· 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