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기/영남알프스

[1,417-1,418] 배내봉(966)-간월산(1,069)_영알7봉 완등 4

by 참 좋은 당신 2025. 2. 10.

* 2025. 2. 9.  

- 배내고개 사슴농장 입구(주차) - 배내고개 - 데크계단 - 헬기장 - 배내봉 - 912봉 - 선짐재 - 간월산 - 간월재 - 임도 - 사슴농장 입구

※ 표시거리 : 사슴농장 입구 - 배내고개(1.7km) - 배내봉(1.4km) - 간월산(2.6km) - 간월재(0.8km) - 사슴농장 입구(6.1km)   총 10.7km

■ 영알7봉 완등 인증사업이 25년부터 월 2봉으로 제한하는 규정이 생겼다. 주민 불편 해소 목적도 있겠지만,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고 인원을 분산하려는 의도가 더 크다고 생각되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참가자가 더 많아지고, 7봉째인 4월에는 첫날부터 엄청 몰리지 않을까 싶다. 

임도를 따라 간월재를 거쳐 간월산에 가는 코스는 완만하지만 짧고 빡세게 올랐다가 멀리 느긋 내려서는 우리 체질에는 맞지 않아, 배내고개에서 능동산을 거쳐 간월산에 오른 다음 간월재로 가서 임도 따라 원점회귀하기로 한다. 

배내봉에서 간월산까지는 크고 작은 돌들로 그다지 쉬운 길이 아닌데 눈이 많이 내린 뒤 많은 사람들이 다니며 다져놓아 아이젠을 신고 가니 오히려 살짝 쿠션감도 있고 걷기 좋았다. 

 

 

배내골에서 69번 국도를 따라 배내고개로 가다보면 만나는 사슴공장 옆 들머리 주차장,
우린 배내고개에서 출발하여 임도를 따라 내려올 거라 여기에 주차한다.  

 

남은 한 자리에 주차했는데, 나중에 내려와보니 도로변까지 빼곡,,,

 

배내고개로 가는 길, 9시가 채 안된 시각, 응달이라 그런지 바람이 맵다. 

 

배내터널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오! 지금 영하 5.2도

 

배내봉까지 1.4km, 헬기장까지는 계속 데크계단이다. 

 

계단 초입부터 눈이 얼어붙은 길이라 아이젠을 꺼내 신는다.

 

헬기장 도착

 

왼쪽으로 오두산 가는 길이 이어진다. 

 

진행 방향으로 뾰족 솟은 배내봉 돌탑이 보이고, 그 왼쪽에 신불산 칼바위 능선도~

 

왼쪽으로 그린 듯 어여쁜 호선을 그린 문수산~남암산 능선

 

오른쪽으로는 재약산~천황산

 

이어서 운문산~가지산 능선

 

배내봉으로 이어지는 밝얼산~가매봉 능선

 

향로산~재약봉 능선이 재약산을 둘러싼 성벽처럼 보이기도 하고...

 

가지산~상운산 능선, 그 너머 문복산

 

간월산과 오른쪽 간월서봉, 멀리 신불산~죽바우등~오룡산까지 잘 보인다. 

 

되돌아 본 배내봉의 모습, 단체산행인지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쨍하게 맑은 날, 뽀드득 소리를 내며 눈길을 걷는 이 시간... 참 행복하구나. 

 

멋지고, 또 멋지다. 

 

임도 따라 간월재로 오르는 사람들도 제법 보인다. 

 

밝얼산 너머 고헌산, 후리고개 너머 소문골지 저수지... 영알종주 때 기억이 새록새록

 

912봉 전망바위

 

바로 아래쪽에 보이는 천길바위, 당겨본 모습

 

 

선짐재/선짐이질등 도착, 왼쪽 길 입구에서 점심

 

배가 부르니 오르기가 더 힘들다아...

 

간월산, 다 왔습니당!

 

정상 주변이 좁은 탓에 다른 사람들 사이에 엉켜 겨우 인증을 하고, 

 

간월재로 향하며 되돌아보니 그새 정상석 주변에 사람들이 많이 줄었다. 좀 기다리다 찍을 걸~

 

간월재로 향하는 데크계단에서 올려다 본 간월산

 

신불산, 왼쪽 칼바위 능선

 

생각만 해도 오금이 저리는 칼바위 능선

 

규화목이 있는 곳

 

 ※규화목[ petrified wood , 硅化木 ]  이산화규소가 나무에 침투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단단한 돌로 바뀐 것이다. 나무 자체의 구조, 조직, 나이테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식물종속(植物種屬)의 성쇠, 고식물지리, 고기후, 지질 층위 등에 큰 의미를 갖는 식물화석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규화목이 발견되고 있지만, 직경 10㎝ 미만의 작은 것이라 자연사적 가치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고, 시대별로 보면 신생대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간월산에서 발견된 2개의 규화목은 중생대 것으로 하나는 최대직경 72㎝, 나머지는 최대직경 32㎝로 전국에서 발견된 규화목 중에 가장 큰 것으로 그 가치가 상당하다. 그중 작은 것은 보존 상태가 아주 좋아 1억 년 전 수종과 기후, 숲 환경을 분석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큰 화석은 현재 3분의 1 가량이 유실된 상태로, 보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간월 공룡능선의 암봉들

 

간월재에서 오른쪽 임도를 따라 내려선다.

 

디테일이 살아있는 눈사람ㅎㅎ

 

간월 서봉 입구를 지나고,

 

차단기를 지나면 사슴농장 입구다. 많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공식 등산로인데, 차단기 옆에 통행로를 좀 확보해주면 좋을 텐데...

 

♥ 오늘도 무사산행,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