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박꽃나무5

[1,366] 평창/홍천 계방산(1,577)_100대 명산 74 * 2024. 7. 1.(월)  비가 오지는 않으나 온통 운무 가득한 날씨 8  계방산 (桂芳山 1,577m) 강원 평창군, 홍천군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 산약초·야생화 등이 많이 서식하고, 희귀수목인 주목·철쭉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두대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백미.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고개 중 가장 높은 운두령이 있으며 내린천(內麟川)으로 흐르는 계방천의 발원지임 ※ 표시거리: 운두령 - 물푸레군락(1.0km) - 쉼터(1.2 km) - 전망대(0.9km) - 계방산 정상(1.0km)  왕복 총 8.2km  ■ 왕복 8.2km면 짧은 거리는 아니.. 2024. 7. 3.
영축산(1,081m) : 반야암 기점 * 2019. 6. 2.(일) 함박꽃나무/산목련과 꼬리말발도리 군락을 따라. ■ 함박꽃나무/산목련 ① 통도사 반야암 - 소나무 숲길 - 신선대/반야정 - 영축산 ② 정상석 맞은편 급경사로 - 너덜 - 내려서다 왼쪽으로 - 갔다 나왔다...반복 - 임도 쉼터 - 반야암 원점회귀 ▲ 오늘 행사들이 있는지 아침부.. 2019. 6. 2.
가지산(1,240m) : 운문령 기점 * 2018. 6. 13.(수) 가는 날이 장날이라, 비안개로 조망이 꽝! ① 운문령 - 쌀바위 - 가지산 정상(되짚어 오기) ▲ 늦게 와서 그런지 주차할 곳이 없어 청도 방향으로 조금 더 내려와서 차를 세웠다. ▲ 기린초 ▲ 임도 시작은 조금 더 왼쪽으로 올라가서 시작되지만, 저기 보이는 플래카드 너머로 들어서면 된다. ▲ 솔잎이 3개씩 나는 리기다소나무 ▲ 노각나무 꽃봉오리 ▲ 미역줄나무 꽃이 한창이다 ▲ 골무꽃 ▲ 쪽동백나무 꽃이 떨어지고 씨방을 맺을 준비를 하고 있다. ▲ 다래나무. 9월에 꼭 여기에 와서 다래 열매를 따먹어야 겠다. ▲ 조록싸리 열매 ▲ 벚나무 열매, 버찌. 생각보다 먹을 만하다. ▲ 이건 벌레집. ▲ 꼬리말발도리 ▲ 꼬리말발도리 씨방 ▲ 상운산 갈림길, 상운산은 오른쪽이다. ▲.. 2018. 6. 13.
영축산(1,081m) : 지산마을 기점 * 2018. 6. 3.(일) 처음 내려서는 未踏路,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산목련, 꼬리말발도리 군락! ① 통도사 옆 지산마을 - 축서암 사거리- (직진) - 간이휴게소(취서산장) - 영축산 정상② 정상석 맞은편 급경사로 - 너덜 - 내려서다 왼쪽으로 들어갔다 나왔다...반복 - 임도 쉼터 - 지산마을 원점회귀 ▲ 언제나처럼 지산마을 입구에 주차를 하고, ▲ 시멘트 도로를 따라 오른다. ▲ 큰금계국 ▲ 컴프리 ▲ 밤나무 수꽃 ▲ 인동덩굴 ▲ 조록싸리 ▲ 대숲으로 난 길을 따라 산행을 시작한다. ▲ 흰씀바귀 ▲ 씀바귀.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보자..." ▲ 털조록싸리 - 조록싸리와 비슷한데 잎이 더 크고 잎과 꽃자루에 털이 많다. ▲ 노루발 ▲ 고추나무는 어느새 열매를... ▲ 골무꽃 ▲ 물참대.. 2018. 6. 3.
영축산(1,081m)-함박등(1,052m) : 반야암 기점 * 2016. 5. 29.(일) 영남알프스 집중 탐사 기간, 우선 영축산! ① 양산 통도사 - 반야암 - 출렁다리 건너 - 지능선 ② 전망바위(신선봉/반야정) - 영축산 - 함박재 방향 - 축서정 - 숨은재(이정표-영축능선 4) - 함박등 ③ 함박재(이정표-영축능선 6)- (왼쪽) - 백운암 - 극락암 입구 - 반야암 원점회귀 ▲ 언제 봐도 정갈한 느낌이 좋은 [반야암] ▲ 저 멀리 [영축산]의 굳건한 암릉을 바라다 보고... 저 출렁다리를 건너면 들머리다. ▲ [뜰보리수] 열매, 맛나다. ▲ [목련]의 열매 ▲ 출렁다리를 건넌다. ▲ 언제 걸어도 좋은 소나무 숲길 ▲ [노루발] ▲ 참외 하나 깎아 먹고, ▲ [쪽동백나무]. 나무 키가 워낙 커서, 땅 바닥의 흰 꽃이 떨어진 게 보이면 반드시 고개를 젖혀.. 2016.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