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짐재4 [1,417-1,418] 배내봉(966)-간월산(1,069)_영알7봉 완등 4 * 2025. 2. 9. - 배내고개 사슴농장 입구(주차) - 배내고개 - 데크계단 - 헬기장 - 배내봉 - 912봉 - 선짐재 - 간월산 - 간월재 - 임도 - 사슴농장 입구※ 표시거리 : 사슴농장 입구 - 배내고개(1.7km) - 배내봉(1.4km) - 간월산(2.6km) - 간월재(0.8km) - 사슴농장 입구(6.1km) 총 10.7km■ 영알7봉 완등 인증사업이 25년부터 월 2봉으로 제한하는 규정이 생겼다. 주민 불편 해소 목적도 있겠지만,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고 인원을 분산하려는 의도가 더 크다고 생각되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참가자가 더 많아지고, 7봉째인 4월에는 첫날부터 엄청 몰리지 않을까 싶다. ■ 임도를 따라 간월재를 거쳐 간월산에 가는 코스는 완만하지만 짧고 빡세게 올랐다.. 2025. 2. 10. [1,238] 간월산(1,069): 배내2공영주차장 기점 * 2023. 2. 5.(일) 완쾌하지 못한 발목 보호를 위해 임도를 선택한 간월산 산행, 23년 첫 매화 구경(영알8봉 완등 인증) ⓛ 69번 지방도 - 배내2공영주차장 - 맞은편 등산로 - 임도 - 도로반사경 옆 계곡 - 선짐재/선짐이질등 *선짐재에서 정상쪽으로 조금 비껴난 지점에서 능선에 합류 ② (오른쪽) - 암릉 전망대 - 이정표(배내봉 2.3km/간월산 0.3km) - 간월산 정상 - 간월재 - 임도 - 배내2공영주차장 원점회귀 ■ 1.28.에 삔 발목... 빨리 낫게 하려고 1주일 내내 침 맞으러 다녔다. 부기도 빠지고 평지를 걷는 데에는 크게 문제 없어 보이지만 등산을 하기에는 아무래도 조금 무리인 듯하다. 한의사 선생님은 절대 안정을 강조하셨는데, 마음의 안정도 중요해! 그래서 발목에 부.. 2023. 2. 8. 배내봉(966m)-간월산(1,069m) : 배내고개 기점 * 2017. 8. 20.(일) 오후에 비올 확률 60%, 비구름으로 뒤덮여 전망은 없었으나 비를 만나지는 않음 ① 배내고개 - 장군평 삼거리 - 배내봉 - 912봉 - 선짐재 - 간월산 (되짚어 오기) ▲ 배내고개 주차장에서 출발, ▲ 주계바위/심종태바위가 뾰족~ ▲ 낭아초 ▲ 루드베키아 ▲ 참싸리 ▲ 끝없이 나무 계단을 올라선다. ▲ 이끼살이버섯? ▲ 등골나물 ▲ 뚝갈 ▲ 기름나물 ▲ 배내봉 정상 ▲ 두메부추 ▲ 가는장구채 ▲ 꿩의다리 ▲ 며느리밥풀. 변종이 많아서...아랫것은 새며느리밥풀 같기도 하고. ▲ 쉽싸리 ▲ 모시대 ▲ 하늘말나리의 열매 ▲ 참꿩의다리 ▲ 간월산 정상. 배내고개에서 오르면 금방일 줄 알았는데 제법 멀다~ ▲ 단풍취, 꽃 피울 준비에 한창이다. ▲ 잠시 구름이 벗겨진 틈을 타서.. 2017. 8. 20. 간월공룡-간월산(1,069m) : 간월산장 기점 * 2015. 7. 19.(일) 걸을 만하다 생각했는데, 시간은 의외로 많이 걸렸다. ① 간월산장 - 임도 - 공룡능선 - 전망데크 - 간월산 정상 ② 정상석 뒤 - 선짐재 - 912봉 - 천질바위/천길바위 - 임도 - 간월산장 원점회귀 △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공사 마무리가 한창이다. 왼쪽 위로 기념관, 인공암벽장도 있었다. △ 간월산장 건물은 흔적도 없고, △ 계곡을 건넌다. △ 119 [간월산 201]지점에서 왼쪽으로 가면 간월재, 오른쪽은 간월산이라고 되어 있지만 왼쪽으로 가다가 오른쪽으로 빠져도 된다. 우리는 오른쪽으로 올라섰다. △ 걷기 좋은 길이 임도를 만날 때까지 계속된다. △ 임도를 만나면 맞은 편에 공룡능선 들머리가 보인다. △ 912봉에서 천길바위/천질바위를 거쳐 내려서면 저 임도를.. 2015. 7.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