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신어산3 낙남정맥[洛南正脈]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낙남정맥은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낙동강 남쪽에 위치하며,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白頭大幹)이 끝나는 지리산(智異山)의 영신봉(靈神峰)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지며,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분성산(盆城山, 360m)(동신어산이라는 주장도 있음)에서 끝난다. 서쪽에서.. 2024. 7. 31. 선무암 : 김해 대동 기점 * 2011. 5. 15.(일) ■ 밤에 물금에서 고속도로 쪽을 바라보면 동신어산 아래 중턱 쯤 불빛을 바라보며, 언젠가 가봐야지 했었던 선무암. 오늘은 어제 산행에 이어 점심 먹고 느긋이 출발, 선무암으로 해서 동신어산에 오를 계획이었다. 내려와서 시원한 막걸리 한 사발을 떠올리며, 물과 과일.. 2011. 5. 16. 김해 백두산(353m) - 동신어산(460m) : 초정리 2008.2.3.(일) : 20,201보(만보계 성능 보장 못함 ㅋ) * 구포시장 -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 원명사쪽 - 철다리 - 백두산(353) - 동신어산(460) - 전망대 - 신대구 고속도로 - 매리 - 구포역 ① 07:25 구포시장 공중화장실 앞에서 125번 버스 승차 - 김해 초정 정류소에서 하차 ② 원명사쪽 - 철다리를 지나 왼쪽 산쪽으로 진입 - 쉼터 - 백두산 정상 (원명사에서 내려오시는 분이 산불때문에 출입금지라고 일러줌) ③ 쉼터에서 신어산 방향 - 510봉 - 신어산쪽이 아닌 오른쪽 길 ④ 가파른 내리막길 - 감천재 부근 - 오르막 - 바위전망대 - 동신어산 정상 ⑤ 암봉 - 낙엽많은 급내리막 - 갈림길(오른쪽길) - 무덤 - 신대구 고속도로변 - 레미콘 회사 ⑥ 도로 - 삼거리.. 2008. 2.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