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헌산10

[1,317-1,318] 고헌산(1,033)-고헌서봉(1,034)_영알8봉 완등 4 *2024. 1. 28.(일) 녹는 눈, 머드젠, 짧은 코스라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1,000고지 山 - 궁근정리 고헌사 - 고헌산 - 고헌서봉 - 고헌산 - 고헌사 (표시거리 약 7킬로 정도) 궁근정리를 향해 가는 길, 멀리 가지산이 반짝인다. 고헌사 위쪽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절 오른쪽 뒤 등산로를 향한다. 멀리서 보았을 때는 고헌산 능선에도 눈이 많아 보였는데, 아직은... 슬슬 눈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표면이 미끈하지 않은 게 지난 주에 온 눈 같다. 정상 직전에 이르니 눈은 더 많아진다. 예상대로 정상석 앞은 인증하려는 이들도 붐비고, 잠시 정상석이 비는 순간을 포착하여 한 컷하고, 우리도 대충 인증한다. (줄 서지 않고 정상석에서 비껴나서...) 주변 산군들을 돌아본다. 신불산, 간월산, .. 2024. 1. 30.
[1,237] 고헌산(1,034): 고헌사 기점 * 2023. 1. 29.(일) 오른쪽 발목을 또 접질러, 운문산 가려던 계획을 바꾸어 그나마 짧은 고헌사~고헌산으로 향한다. (영알8봉 완등 인증) ■ 도대체 몇 번째 발목을 삔 것인지... 블로그 내 검색을 해보니 2016년 11월, 2017년 2월, 2017년 12월, 2022년 11월, 이번까지 5번째다. 생각보다 많아 스스로 놀라운데, 2015년 이전 내용은 검색이 안되니 더 있을 수도... 내 맘 같지 않은 몸 상태에 짜증과 함께 서글픔이 밀려온다. 어제 한의원에서 사혈도 하고 침도 맞고, 당분간 꼼짝하지 말고 쉬라는 처방을 받았는데, 산에 안가고 배기나, 어디. 오를 때는 힘들어도 왼발에 힘주고 스틱 잡은 양팔에 힘을 주면서 크게 무리 없이 오를 수 있었는데, 내려오는 길은 참으로 고단하더라.. 2023. 1. 30.
[1,1651,166]고헌산(1,034)-고헌서봉(1,035): 고헌사 기점 * 2022. 2. 13.(일) 영알9봉 완등 7차 시기, 고헌산 정상석 방향이 바뀌었다. ① 고헌사 - 절 오른쪽 뒤 산길 - 전망 없이 그저 오르막 - 고헌산 정상 - (왼쪽) - 고헌서봉 ② 고헌산으로 되돌아와 정상석 왼쪽 - 산불감시초소 - (오른쪽) - 이정표(고헌사/고헌산 0.8km) - (오른쪽) - 2번째 갈림길 - (오른쪽) - 고헌사 원점회귀 ■ 며칠 전부터 오늘 비가 온다는 소식이 있다. 그 사이 혹여라도 바뀔까 일기예보를 몇 번씩 들여다봐도 여전히 60~70%비란다. 뭐, AM25니까... 백운산까지 잇기 산행을 해볼까, 고헌서봉부터 소나무봉까지 크게 돌아볼까 하다가 비온다는 소식에 짧은 코스로 고헌산으로 바로 올라 고헌서봉에 들렀다 오기로 했다. 하산 후 2시 조금 지나 빗방울 듣.. 2022. 2. 14.
[1,123-1,124] 고헌산(1,034m)-고헌서봉(1,035m): 고헌사 기점 * 2021. 8. 16.(월) 영알 실크로드 종주를 마치고, 영알 완등 마무리를 위해 고헌산으로, 간 김에 서봉도~ ① 고헌사 - 절 오른쪽 뒤 산길 - 전망 없이 그저 오르막 - 고헌산 정상 - 고헌서봉 ② 고헌산으로 되돌아와 정상석 왼쪽 - 산불감시초소 - (오른쪽) - 이정표(고헌사/고헌산 0.8km) - (오른쪽) - 고헌사 ■ 제법 길었던 영남알프스 실크로드 종주를 마치고, 영남알프스 태극종주 시작하기 전 틈을 내어 영남알프스 9봉 완등 마무리를 위해 오늘 고헌산, 다음 주 문복산을 다녀오기로 했다. 정확한 일기예보대로 오전에 비가 좀 뿌렸지만 비옷 입을 정도는 아니었다. 역시 산은 1,000고지 이상이어야 해. 비가 오고 흐린 점도 있지만 성가신 벌레도 적고, 요리조리 고개를 꺾으며 피할 잡.. 2021. 8. 17.
[989-990] 고헌서봉(1,035m)-고헌산(1,034m) : 외항재 기점 * 2020. 5. 5.(화) 아직 허벅지가 당기는데, 그래도 산에 가야 숨을 쉬겠다... *고헌사에서 오르는 거보다 가까울 것이라 생각했는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린 듯하다. ■ 고헌산 가는 길, 고헌서봉 직전에서 바라 본 산군들의 파노라마. - 왼쪽 멀리 구름 속의 가지산과 오른쪽 상운산, 앞쪽 운문령~문복산, 쭉 가다가 뾰족 솟은 대부산(조래봉) ① 울주군 외항재 - 솔가리 푹신길 - 돌계단길 - 고헌서봉 - 고헌산(되짚어오기) ▲ 산행 들머리인 외항재. 경주와 울산(울주)의 경계 구간 ▲ 어디든 매고 보는 본능 ▲ 시작하는 느낌은 좋았다. 그늘에, 솔가리가 덮인 길도 푹신~ ▲ 색 고운 철쭉 꽃길도 밟아 보고... ▲ 연녹색으로 피었던 병꽃나무는 어느새 붉은빛으로 바뀌고 있다. ▲ 애기나리 ▲ 노루.. 2020. 5. 5.
고헌산(1,034m) : 궁근정리 기점 * 2019. 5. 6.(월) 오를 때는 참으로 걷기 좋은 길, 내려설 때는 급경사 ① 궁근정리 삼진아파트 옆 보성빌라 앞 주차 - 시멘트 도로 꺾어지는 지점 '고헌사' 안내판 옆길 - 경사가 있으나 푹신한 오솔길 - 고헌산 정상 ② 산불감시초소 - 고헌사 갈림길 - (직진) - 소나무봉 - (오른쪽) - 급내리막 - 저수지 - 논 옆 시멘트길 따라 - 보성빌라 원점회귀 ▲ 궁근정리 보성빌라, ▲ 맞은편에 주차를 하고 고헌산 쪽으로 걸어간다. ▲ 방가지똥 ▲ 고헌사 안내판 왼쪽으로 산에 들어선다. ▲ 거류매듭으로 울 표지기로 매어보고, ▲ 덜꿩나무도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 밀나물 수꽃 ▲ 졸방제비꽃, 다른 제비꽃과는 달리 원줄기가 있고 잎 끝이 뾰족하다. ▲ 애기나리 ▲ 비비추 ▲ 둥굴레 ▲ 신갈나무.. 2019. 5. 9.